본문 바로가기
Economic & humanities

문화인류학 개요설명

by Jin Economics 2023. 8. 6.
반응형

 

문화인류학은 인류가 걸어온 역사와 현존의 인류에 대한 각각의 소산물들을 대상으로하여 문화를 관찰하거나 분석하면서

그것을 종합한 뒤, 문화 법칙성 또는 규칙성과 변이등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문화인류학"이란 용어 자체는 미국(USA)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영국(UK)에서는 이와같은 내용을 사회인류학, 독일(Germany) / 오스트리아 및 그 밖의 다른 유럽나라에서는 민족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법론으로는 문화진화론 / 문화 전파론 / 문화사론/ 문화영역론 / 문화통합형태론 / 문화기능론 / 문화 인격론 / 문화 구조론 등이 있다. 

 

연구대상은 주로 미개한 문화와 그것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최근에는 근대사회의 복잡, 고도한 문화를 담당하는 사람들은 물론 역사적인 문화와 현재의 모든 문화가 그 대상이 되고 있다.

문화인류학의 학문적 시초는 이미 18세기 후반의 프랑스 계몽사상 중에 나타나며, 19세기에는 이론적인 기초가 세워지게 되었다.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은 보통 자연인류학과 대치되는 용어로서 넓은 뜻으로는 선사적 고고학, 인류학적 언어학, 민족학, 민속학, 민족지 등 여러 분야가 포함되지만, 좁은 뜻으로는 사회 인류학과 민족학의 두분야를 가리킨다. 인류의 생활 역사를 문화면에서 실증적으로 추구하는 인류학의 한 부분이다.

 

위의 현재 설명중인 문화인류학과 다르다는 자연인류학에 대해 가볍게 설명을 하자면, 다른 말로는 체질인류학(physical anthropology)이라고도 불린다. 자연인류학은 인간의 행동 및 생물학적 양상, 인간과 관련된 영장류 그리고 멸종한 인류의 조상들에 대한 연구를 한다. 인류학의 하위 분과 중에서 계통학적 인류 연구에 대한 생물학적 견해를 보여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자연인류학 또는 체질인류학은 몇가지의 하위 분류를를 가지고 있다. 

1. 고인류학 / 2. 법인류학 / 3. 환경생태학 / 4. 인간생물학 / 5. 고인류병리학 / 6. 생고고학 / 7. 문화인류학 / 8. 영장류학 등 8가지로 다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분류는 이렇게 구성되어 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도록 하겠다.

 

고인류학에서는 인류 진화의 증거가 되는 화석들을 연구한다. 고인류학에서는 멸종한 인류와 다른 영장류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류 진화의 환경적 배경을 탐구한다. 

추가적으로 고인류학에 대한 설명을 붙이자면, 고인류학은 형질인류학(자연인류학)에서 파생된 학문 영역으로, 특히 영장목 내에서 인간(호모 사피엔스)에의 진화의 계보의 과정을 해명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여, 그 과정에 있었다고 생각되는 인간과의 생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넓은 의미로는 고생물학에도 속하지만, 고생물학과 고고학의 교두보가 되어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영장류학에서는 영장류의 행동 양상, 형태, 그리고 유전자에 대해서 연구한다. 인간과 영장류의 상동성과 유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류의 특성이 왜 그렇게 발전해 왔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법인류학이란 골 해부학, 고인류병리학, 고고학, 그리고 여러 인류학적 분과들의 종합학문으로 사망 사건에 대한 재구성을 목표로 한다. 

 

환경생태학에서는 진화화적, 환경학적 관점에서 수렵 채집, 재생산, 개체 발생 등과 같은 행태적 적응 양상에 대해 연구한다.  

 

인간생물학은 생물학과 체질인류학, 영양학과 의학이 합쳐진 영역이며, 전지구적 관점에서의 건강, 진화, 해부학, 생리학, 적응, 집단 유전학에 대해 탐구한다. 

 

고인류병리학은 고대의 질병들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고인류병리학에서는 뼈 화석이나 미라화된 연조직에서만 관찰 가능한 병인뿐만 아니라 영양장애, 시간에 따른 형태의 변화, 신체적 외상, 생체역학적 부상에 대한 단서 등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생고고학에서는 고고학적 자료들을 통해 인류 문화의 종적을 탐구한다. 고고학적 자료란 이를테면 연조직이 포함된 뼈 화석등을 말한다. 생고고학 연구자들은 인체 골 해부학, 고인류병리학, 고고학 등을 총체적으로 연구한다.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문화와 사회에 대하여 연구하며, 지구상의 인간의 출현으로부터 현대의 우리 시대까지 발전해 온 모든 인간들과 그들의 시대별 문화 및 사회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연구방법은 아래 설명과  같다.

문자를 사용하지 않던 문화권을 조사할 때, 문헌 기록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현지조사를 진행한다. 즉 유적과 유물들의 발굴 등의 불가결하며, 필연적으로 갖가지 이질적 문화를 취듭해야하므로 비교연구가 중요하게 사용된다. 

 

어떤 민족이나 인간 집단을 연구할 때 인류학자들은 그 민족 또는 사회의 역사와 지리, 자연환경은 물론 사람들의 체질적 특성과 가족, 혼인, 친족제도, 경제제도, 물질문화, 정치조직, 법률체계, 종교, 언어, 예술, 인간심성 등의 모든 측면을 상호관련지어 연구한다. 

 

연구주제에 따라 종교인류학, 친족연구, 경제인류학, 정치인류학, 법인류학, 교육인류학, 예술인류학 등으로, 이론적 성격에 따라 생태인류학, 심리인류학, 상징인류학, 응용인류학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과거의 인류 뿐만 아니라, 현재 인류의 모습에 대해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의 빈민가에 거주하는 흑인, 다국적 기업, 환경문제, 사이버 공간의 문화등을 연구하는 인류학자들도 있다. 

 

문화인류학자들이 생활양식으로서 문화란 개념을 채택함으로써 이들이 다루는 연구의 영역은 매우 포괄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도시인류학, 기업인류학, 영상인류학, 의료인류학, 관광인류학, 환경인류학, 정보인류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였다. 이는 차차 다음 포스팅 글에 분류해서 혹은 묶어서 한페이지에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오늘은 이렇게 문화인류학에 대한 개념에 대해 설명글을 작성해 보았다. 인류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이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반응형